2,297 0 0 7 37 0 3년전 0

딜레마에 빠진 철학과 굴뚝청소부

바보멍텅구리 달건이에 관한 인식론적고

이 책은 “눈에 보이는” 자신의 얼굴 상태가 ‘더럽다’ or ‘깨끗하다’ 둘 중의 어떤 <개념>에 부합되는지를 알고 싶었던 철학과의 그 굴뚝청소부가 <자신의 얼굴>을 <인식되는 대상>으로 삼아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<타자의 얼굴>을 <자신의 얼굴>로 <착각(錯覺)>하고 “더러운” <타자의 얼굴>을 보고 <자신의 얼굴>도 “더럽다”는 <개념>을 선택하여 ‘내 얼굴은 더럽다’...는 판단을 내린 후 알고 보니 <자신의 얼굴>은 “깨끗하다”는 <개념>을 선택해야 하는 상태였음을 알고 “인식하는 주체와 인식되는 대상이 양분(兩分)되면, 인식된 게 사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길이 없다. 그렇다면 진리란 불가능하단 말인가? 진..
이 책은
“눈에 보이는”
자신의 얼굴 상태가
‘더럽다’ or ‘깨끗하다’
둘 중의
어떤 <개념>에
부합되는지를
알고 싶었던
철학과의 그 굴뚝청소부가
<자신의 얼굴>을
<인식되는 대상>으로
삼아
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
<타자의 얼굴>을
<자신의 얼굴>로
<착각(錯覺)>하고
“더러운”
<타자의 얼굴>을
보고
<자신의 얼굴>도
“더럽다”는
<개념>을
선택하여
‘내 얼굴은 더럽다’...는
판단을 내린 후
알고 보니
<자신의 얼굴>은
“깨끗하다”는
<개념>을
선택해야 하는
상태였음을 알고
“인식하는 주체와
인식되는 대상이
양분(兩分)되면,
인식된 게
사실과 일치하는지
여부를
확인할 길이 없다.
그렇다면
진리란
불가능하단 말인가?
진리에 도달하려는
근대철학자는
이런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.
그는
이 난국을
빠져나가기 위해
여러 가지 탈출구를 찾아낸다.
...
‘철학’과
‘굴뚝청소부’라는
어울리지 않는
두 단어를
붙여서
책 제목으로
다는 것은
이런 이유에서다.”
뭔 개 풀 뜯어먹는 소리야?
어이가 없네 ...
하는 짓이
물 위에 비치는
뼈다귀를 물고 있는
개의 모습이
자신의 모습이라는 것을
알지 못하고
그 개가 물고 있는
뼈다귀까지 빼앗고 싶어서
컹컹 짓다가
자신이 물고 있던
뼈다귀를
물에 빠뜨려 버린
개(dog)
and
배를 타고 가다
강 한복판에서
아끼던 칼을
강물에 빠뜨린
초나라의 한 젊은이가
배 위에다
표시를 하고
‘칼이 떨어진 자리에
표시를 해놓았으니
찾을 수 있겠지.’」
... 라고 생각하고
배가 언덕에 닿자
뱃전에서 표시를 해 놓은
물속으로 뛰어 들어가
칼을 찾았으나
칼은 없었다.
이것을 보고
사람들이
그의 어리석은 행동(行動)을
비웃었다. ... 는
그래서
바보멍청이의
대명사가 되어버린
각주구검(刻舟求劍)이라는
고사의
주인공과
“(차이를) 발산하는 계열들”을
찾을 수 없는
‘아니
세상에
이런
바보멍텅구리도 있나?’
... 라는
생각밖에 들게 하지 않는
『철학과 굴뚝청소부』 라는
책의
뒤표지에 실린
text를
읽고 난 후
“물결처럼 진행되는”
사유의 과정을
그대로
술이부작(述而不作)한
“내용(직관) 없는 형식(개념)은 공허하고,
형식(개념) 없는 내용(직관)은 맹목적이다.”
... 는
칸트가 정식화한
<인식론의 기본 명제>에
충실한
“개념 없는”
<극단적 이기주의자들>

“나쁜 짐승을 길들이는 훈련자”로
자처하는
<플라톤적 사제들>의
<금욕주의적> 삶의 방식을
“약자의 허무주의”라
비웃으며
자신들의
<극단적 허무주의>를
욕망을
그 어떠한 경우에도
절제하거나
스스로 억압하지 않는
“강자의 허무주의”라고
칭하고
선각자(先覺者)들이
목숨을 걸고
“걸으면서”
기록한
소중한
text를
“앉아서 하는 유목”을 통해
원작자의
<주제 의식>이나
<미학적 의도> ...
그런 건
< 개나 주라고~ >
“해석은
도용(盜用)이자
전유(專有)다.”
라고
주장하며
낱낱이
해체(解體)한 후
자신이 필요한 말만
쏙쏙 골라서
장인의 솜씨라고
감탄할 수밖에
없는
짜깁기
솜씨로
어떻게?
<정신적 노동자>로
평생을 살아오면서
“앉아서 하는 유목”을 통해
습관화한
text를
짜깁기하는
숙련된 솜씨를
마음껏 발휘해서
자신의
독창적인
작품으로
탈바꿈시키는 데
있어서는
타의 추종을
불허하는
“나쁜 짐승”
“게으르고 악해서”
“얼굴이 깨끗한”
딜레마에 빠진
철학과 그 굴뚝청소부의
text가
<의미>하는 바를
독자들이
수월하게
이해할 수 있도록
술이부작(述而不作)한
인식론적 고찰이다.
배우기를 좋아하는 한 사람 : “두 사람의 굴뚝청소부가 청소를 마치고 내려왔다. 한 사람은 얼굴이 더러웠고, 한 사람은 얼굴이 깨끗했다. 이 중 과연 누가 세수를 하게 될까?” ... 이런 질문을 받는 순간 ... 아니 뭔 개 풀 뜯어먹는 소리야? ... 우리나라처럼 온돌방 구조가 아니라 벽난로를 사용하는 예전 유럽의 집들은 대부분 목재로 지어진데다 벽 속의 굴뚝 내벽에 그을음이 앉아 있으면 금세 불이 옮겨 붙어 화재에 취약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존재하지 않는 굴뚝청소부라는 전문화된 직업이 있었고 1727년 독일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가 정기적으로 굴뚝 청소를 할 것을 의무화하는 조례를 최초로 제정했고, 여행 가이드를 하려고 해도 그의 어학실력이나 능력과는 상관없이 3년간의 직업훈련 과정을 이수하고 자격증을 딴 사람만이 여행사에 취직해서 일을 할 수 있을 정도로 ... <제도화된 문화자본: 졸업장, 자격증>으로 그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... 나는 널 고용한 <주인>, 너는 나의 명령을 수행해야 하는 <노예> ... 이런 <부르주아 계약관계>에 스스로 서명날인한 사람은 스스로 배를 갈라서라도 약속을 지키려고 노력했음을 증명해야 하는 ... 그런 이익사회에서 ... 돈을 받고 고용되어 “함께 굴뚝을 청소했음”에도 ... ‘한 사람은 얼굴이 깨끗하다? ... 열심히 청소 안 했네. ... 그 “얼굴이 깨끗한” 굴뚝청소부는 “게으르고 악한” <마음밭>의 소유자임에 분명해. 그렇다면 그 “얼굴이 깨끗한” <딜레마에 빠진 철학과 굴뚝청소부>의 text를 낱낱이 분석해볼까? ... 이렇게 생각하고 몸소 행동으로 옮길 <학문적 지식> 정도는 구비하고 있는 ... 가방끈도 상대적으로 비교해 볼 때 뭐 그리 짧은 건 아닌 배우기를 좋아하는 한 사람

㈜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| 316-86-00520 | 통신판매 2017-서울강남-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, 2층 (논현동,세일빌딩) 02-577-6002 help@upaper.net 개인정보책임 : 이선희